스포츠계의 황제, 김운용의 진짜모습을 밝힌다

http://badkiller.kr/bbs/board.php?bo_table=alim02&wr_id=802

김운용과 돈

 

지난 7월 4일 김운용 IOC부위원장이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방해했다는 김용학 한나라당 의원의 발언 이후 이 문제가 법적 소송으로까지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뚜렷한 증거가 나타나고 있지 않아 의혹만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 7월 14일 오후 열린 평창올림픽유치특위에 위원으로 참석한 김운용의원이 스포츠인턴지를 읽으며 질의를 준비하고있다.

 

이에 <독립신문>에서는 평창유치 실패로 인해 도덕성까지 통째 도마에 오른 김 부위원장의 과거행적과 언행, 그리고 그와 오랫동안 생사고락을 함께 했던 체육계 관계자들의 증언을 통해 과연 그는 어떤 인물인지를 기획특집으로 심층보도 한다. 3탄으로 기획된 김운용의 진짜 모습 중 '김운용과 돈'을 제 1탄으로 싣는다.<편집자주>

 

김운용 태권도 3대 단체 30년간 장악

 

1931년 대구에서 태어난 김 부위원장은 외교관의 꿈을 키우며 연세대(당시 연희대) 정치외교과에 입학했고 5.16 이후 박정희 장군의 의전비서관을 맡는 등 정치권에서 맹활약하던 중 1971년 제7대 대한태권도협회장에 취임하면서 태권도와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그 후 김 부위원장은 같은해 11월 태권도센터(현 국기원)를 설립하고 2년 후인 1973년에는 세계태권도연맹을 창립했고, 현재까지 30여년 동안 태권도 3대 단체로 일컬어지는 이 세 기관의 수장역할을 해왔다(대한태권도협회는 중간에 다른 사람이 맡기도 함).

 

또한 1986년 한국인으로는 여섯 번째로 IOC위원에 선출됐고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무려 9년 동안 대한체육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김 부위원장은 태권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스포츠계의 최고 실력자로 성장했다.

 

이처럼 오랜 기간 동안 태권도 여러 단체의 수장자리를 장기집권하면서 갖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기도 했지만 그때마다 김 부위원장은 정치적 영향력과 수완을 발휘해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갔다.

 

국익이 아니라 개인영달 위해 노력

김 부위원장의 금전문제와 관련해 태권도인들이 가장 큰 의혹을 가지고 있는 부분은 국기원 운영과 관련된 것들이다.

 

지난 1971년 설립된 국기원은 1년 예산이 50억원 정도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 국기원이 위치한 강남구 역삼동 산 76번지 일대는 강남구청 소유의 땅이다. 태권도 단증발급으로 연간 수십억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지만 30여년 동안 정작 그들의 집마저도 셋방살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22년 동안 국기원 지도자연수원 학감으로 일하며 김 부위원장을 옆에서 지켜봤던 김호재(63)씨는 "지금이야 국기원 주변 땅값이 엄청나게 비싸지만 (국기원)설립 당시 그 일대는 불모지였다"면서 "그 때 그곳은 자신의 땅이 아니더라도 소유하고 있다가 불하를 신청하면 아주 싼값에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국기원이라는 기득권도 있고, 아주 조금만 투자하면 땅을 살 수 있었지만 김운용 국기원장은 그마저도 (돈을)쓰지 않으려고 했다"고 분개했다.

 

그럼 이처럼 많은 돈이 어디에 어떻게 쓰였기에 김 원장은 이토록 투자에 인색했을까?

 

많은 태권도 관계자들은 김 부위원장이 IOC 위원이나 스포츠계 인사들에게 로비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돈이 사용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성환 태권도정보연구소 소장은 "지난 30년 동안 국기원이 다음해로 이월한 돈은 항상 1∼2억원 정도였는데, 김운용 원장이 사표를 낸 지난 2001년말부터 한 해 동안 모인 돈이 약 20억원 이상"이라며 "우리에게 수사권이 없어 사실을 밝혀낼 수는 없지만 돈을 가져다 쓰던 사람이 사표를 내 공석으로 있으니 돈이 남았다는 반증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 김 부위원장은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고 서울올림픽을 유치하는 일이 그냥 되는 것이 아니다. 국익을 위해 돈을 쓴 것이다"고 여러 차례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에 대해 강원식(65) 전 국기원 이사는 "개인의 출세를 위한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런 말을 하는 이유에 대해 그는 "내가 국기원 재직 당시 IOC위원이나 외국 손님들이 김 원장을 찾아오면 홍삼, 넥타이, 시계, 열쇠고리 등을 많이 쌓아놓고 선물로 주곤 했는데, 김 원장이 주는 선물에는 항상 '김운용'이라는 이름 석자가 들어가 있었다"며 "국익을 위해 선물을 준 것이 아니라 개인 영달을 위해 로비를(선물을) 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수의계약 통해 아들 기업에 특혜 의혹

 

김 부위원장이 국가나 단체의 이익보다는 사리사욕에 앞장섰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김 부위원장의 자녀들에 대한 특혜제공도 문제삼고 있다.

 

김운용 부위원장은 아들 정훈(45)씨가 운영하는 '이티케이디'에 수의계약 형태로 태권도 관련 3대 단체의 홈페이지 제작 특혜를 준 의혹과 2002년 불거진 아들 정훈씨의 태권도 인사 뇌물수수 의혹 등 신문과 방송에 여러 차례 관련 의혹들이 보도됐지만 제대로 된 수사 한 번 받지 않고 무마됐다.

 

당시 검찰은 김 부위원장과 아들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뜻을 각 언론에 여러번 비쳤지만 직접적인 수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1년 9월 27일 <한겨레신문>은 '태권도단체 홈페이지사업. 김운용 회장 아들 업체 독점'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운용 대한체육회장의 아들 정훈(43)씨가 김 회장이 총수로 있는 세계태권도연맹과 대한태권도협회, 국기원 등 태권도 단체들의 인터넷 홈페이지 사업을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특혜 의혹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2년 2월 15일 문화일보 '김운용씨 아들 出禁…12억여원 계좌입금 확인' 기사에는 "대한태권도협회의 국가대표선발 및 인사비리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지검 특수2부는 15일 김운용 대한체육회장 겸 세계태권도 연맹총재의 아들인 김정훈(43)씨와 가족 등의 계좌에 여러 차례에 걸쳐 12억여원이 입금된 사실을 확인, 김씨를 출국금지했다. 검찰은 이 돈 가운데 일부가 김 회장에게도 전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관련 계좌추적을 벌이고 있다"고 적혀 있다.

 

같은달 18일자 한국일보는 '김운용씨 주변 계좌, 수억원대 입금 확인'이라는 기사를 통해 "검찰이 김운용 총재의 가족과 측근 등 주변계좌에 수억원이 입금된 사실을 확인, 자금의 흐름과 대가성 여부를 집중 조사중이다"며 검찰 관계자의 말을 빌어 "계좌추적을 통해 정훈씨가 받은 돈 중 일부가 김 회장 주변으로 흘러 들어간 단서를 잡고 가·차명 계좌의 실제 소유주를 확인중"이라고 밝혔다.

 

각 언론들은 김 부위원장과 아들 정훈씨에 대한 의혹이 거의 사실로 드러나고 있고 곧 수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그해 2월 중순을 넘기면서 관련기사들은 종적을 감춰버렸다.

 

국기원 지도자연수원 학감 출신인 김호재(63)씨는 이 사건에 대해 "공개입찰을 통해 수장의 아들 업체가 일을 수주했다고 해도 엄청난 특혜의혹이 있었을텐데 수의계약을 통해 태권도 3대 단체의 영문홈페이지를 모두 수주한 것은 누가 봐도 특혜가 아니겠느냐"고 반문하고 "언론에 3∼4일 동안 대서특필 됐지만 수사 직전에 흐지부지 됐다. 이 일은 의혹 차원이 아니라 이미 밝혀진 일을 덮은 것"이라고 말했다.

 

수의계약으로 인한 특혜의혹이 제기되자 세계태권도연맹 관계자는 당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공개입찰을 꼭 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어 수의계약 형태로 계약을 했지만, 총회에서 감사를 받아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김 전 학감은 또 "김운용 부위원장은 딸의 피아노 연주회 때 국기원 직원들을 비롯해 수백명을 강제동원 시켰다"면서 "그 경비는 모두 국기원 예산에서 지출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내가 제도권에 있을 때 누차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김운용 원장에게 고언했지만 김 원장은 그 때마다 '조용히 하라'며 촌지를 줬다. 자기를 피곤하게 하면 떡 하나 주는 게 그 사람의 주특기"라고 비난하며 "인터폴에 체포돼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에 구금중인 아들 정훈씨를 돕기 위해 외교통상부 차관보를 현지에 파견하도록 한 것만 봐도 국가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느냐"고 말했다.

 

자신의 힘 키우려고 소속단체 발전저해

 

또 강원식 전 국기원 이사는 김운용 부위원장이 대한체육회장으로 재직하던 1995년 태권도협회의 ‘재정자립기금 감축시도’를 예로 들며 단체의 이익보다는 ‘김운용의 힘’을 키우기 위해 노력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강 전 이사에 따르면 대한체육회가 각 경기가맹단체의 사단법인화를 추진하기 위해 ‘경기단체 재정자립기금’을 지원하던 1995년, 대한체육회는 올림픽 정식종목에 채택된 태권도 종목의 지원금은 종전의 1억 7200만원에서 오히려 3800여만원 줄어든 1억 3400만원으로 문화체육부에 조정을 신청했다가 이를 문제삼자 1억 7200만원으로 수정해 요청했다.

 

그러나 강 전 이사가 다시 문화체육부에 "올림픽 정식종목에 채택되었는데 왜 지원금을 상향조정하지 않느냐"고 항의하자 문화체육부에서 2억원을 배정했다는 것이다.

 

지원금 인상은 대한체육회가 올림픽정식종목에 채택된 종목들에게 우선적으로 많은 금액을 지원하던 당시의 사정을 감안하면 너무도 당연한 일이었다.

 

이에 대해 당시 대한태권도협회 전무이사로 재직하던 강원식 전 국기원 이사는 “경기단체가 법인화 되면 대한체육회의 영향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당시 대한체육회 회장이던 김 부위원장이 태권도에 몸담고 있으면서도 오히려 재정자립기금을 감축시켜 태권도의 법인화를 저지하려 했다”면서 "이 문제만 보더라도 김운용 부위원장이 소속 단체나 국가적인 이익보다는 개인의 영달을 위해 온 힘을 기울였다는 확실한 증거가 된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엄병길 기자 bkeom@independent.co.kr

 

부정부패추방시민연합회(부추연)